[We Can Do This COVID 19 공공 캠페인] 사실인가? 허구인가? “바로 잡습니다.”

코로나19 백신과 부스터 샷에 대한 근거 없는 이야기들

By 변성주 기자
kjhou2000@yahoo.com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째 접어들면서 코로나19와 백신에 대한 근거 없는 이야기와 오해가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및 일상적인 대화에 계속 언급되고, 내용도 발전하고 있다. 믿을 수 있는 출처에서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 백신 접종과 부스터 샷 접종 또는 다른 예방 조치에 관한 결정을 복잡하게 만드는 일을 막을 수 있다.
3월 2일 기준으로 CDC는 접종 자격이 있는 사람 중 아시아계 미국인은 약 59%, 하와이 원주민 및 태평양 섬 주민은 45% 이상이 부스터 샷을 접종했다고 보고했다. 즉, 우리 지역사회는 백신 접종률을 충분히 달성하기까지 아직 갈 길이 멀었다. 참고로 12세 이상의 모든 사람은 부스터 샷을 접종해야 하며, 화이자-바이오앤테크 또는 모더나 백신 2차 접종 후 최소 5개월 이후, 존슨앤존슨의 얀센 백신 접종 후 2개월 이후에 부스터 샷을 맞아야 한다.
코로나19 백신과 부스터 샷에 대한 근거 없는 이야기를 바로잡는 사실들을 살펴본다.

△허구: 부스터 샷이 필요하다는 것은 백신이 효과가 없다는 의미이다.
▲사실: 코로나19 백신이 심각한 질병과 입원, 사망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경증 및 중증도 질병에 대한 보호 능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스터 샷은 보호 기능을 더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부스터 샷은 또한 새로운 변이로부터 여러분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허구: 백신과 부스터 샷을 접종한 사람은 마스크를 쓰거나 사회적 거리두기를 할 필요가 없다.
▲사실: 비록 백신이 코로나의 확산과 감염 위험을 줄인다고 하더라도 바이러스는 특히 사람이 많고 환기가 잘 안 되는 공간에서 사람들이 숨을 쉬고 말을 할 때,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다. 코로나 확산을 방지하고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2세 이상의 모든 사람은 누구나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실내 공공장소에서 자신에게 딱 맞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없다.
△허구: 코로나19를 치료할 방법은 많으므로, 백신 접종이 더 필요하지 않다.
▲사실: 코로나19에 대한 대응법은 많은 발전을 거두었으나 치료에는 한계가 있으며, 언제나 질병의 치료보다는 예방이 우선이다. “코로나19 알약”과 같은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한 일부 치료법은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며칠 이내에 복용해야 하며 가장 위험도가 높은 사람에게만 해당한다. 다른 치료법은 의료 시설의 여러 차례에 걸쳐 주사나 정맥 주사를 통해 받게 된다. 치료제는 제한적으로 공급되며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지 못한다. 또한 비쌀 수 있다. 백신을 접종하면 우리 몸에 바이러스를 인지하고 싸우도록 알려준다. 무료 백신과 부스터 샷은 심각한 질병과 입원, 사망을 막는 최선의 예방 수단이다.
△허구: 코로나19에 걸린 후 얻는 자연 면역이 백신을 통해 얻는 면역보다 낫다.
▲사실: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심각한 질병에 걸리거나 장기적인 코로나19가 발생할 위험이 코로나19 백신의 잠재적인 부작용의 위험보다 훨씬 크다. 백신 접종은 대부분은 심각한 질병을 막을 수 있는 높은 수준의 보호 능력을 제공해준다. 현재 자료에 따르면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18세 이상 성인은 백신을 접종한 성인보다 코로나19에 감염될 확률이 다섯 배 높으며, 입원할 가능성은 16배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백신을 접종하면 아픈 상태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코로나19를 전파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백신은 이미 코로나19에 걸렸던 사람들의 재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도록 더 강력한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코로나19와 백신, 부스터 샷에 대한 근거 없는 이야기와 오해가 곳곳에 많이 퍼진 상태이다. 잘못된 정보는 백신 접종과 다른 예방 조치에 대한 올바른 결정을 방해하여 심각한 질병과 입원, 사망 위험을 높인다.
과학에 근거를 둔 정확한 백신 및 부스터 샷에 대한 정보는 www.vaccines.gov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