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칼럼 (안재원 부동산) – 기다림의 비용 – (안재원, Kevin Gillespie)

지난 칼럼에서는 크레딧 점수와 향상 방법 대해서 정리해 드렸는데, 이번 칼럼에서는 Cost of Waiting (기다림의 비용) 대해서 이번엔 렌더이신 Lakeway Lending의 Kevin Gillespie 님이 제공해 주신 자료를 가지고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각 장표는 제공받은 자료이고, 아래 주석은 발표자료를 요약정리한 것입니다.

▲ 사진 1 (제공: Kevin Gillespie)


위 자료에선, 집구매자가 구매를 주저해서 생길 수 있는 시나리오를 분석한 자료인데, 각각 적게는 6개월 부터 3년정도를 기다릴 경우에 대한 각각의 예상되는 기회 비용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물론, 위는 구매가격 35만불짜리 주택을 예를 든 것으로, 같은 주택을 구매하는 시기에 따른 모기지 이자와 주택가격상승 예상치인데, 이자가 올라가면 구매자의 금융비용이 증가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주택가가 올라갈 경우에 따른 구매자의 부담증가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사진 2 (제공: Kevin Gillespie)

위의 차트는 집값 상승의 모멘텀을 놓인 기회비용과 이자상승으로 인해 예상되는 월 모기지비용 증가에 따른 손실뿐 아니라, 같은 집이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클로징에 가져가야 하는 현금비용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집을 살 계획이 있다면, 기다려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차이를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물론, 위의 자료는 교육적 목적으로 시뮬레이션한 자료입니다.
마지막으로, 장기적으로 주택을 구입할 계획이 없는 분들이라면 상관없지만, 주택구매 계획이 있는 분들이라면, 이러한 상황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판단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특히, 집구매가 많이 어려워진 올해는, 현재 고객분들 중, 특히 지난 1, 2년전 구매하려고 했다가, 보류하고 올해 다시 구매를 서두르는 분들이, 기다린 과거 결정을 후회하시는 경우를 많이 보면서, 조금이라도 독자분들께 현명한 판단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좋은 자료를 제공해 주신 Kevin Gillespie씨께 감사드립니다.

Kevin Gillespie
Lakeway Lending
KEVIN@LAKEWAYLENDING.COM
(512) 705-1020

Jaewon “Chris” Ahn (안재원 부동산)
Cell: 512-815-8116
Email: Chris@JoaRealty.com / ChrisJWAhn@Gmail.com
ShowingNew.com/ChrisAhn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