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칼럼 (송영일 목사) –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라네

두 천사가 여행을 하다가 어느 부잣집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부잣집 주인의 집사람들은 두 나그네에게 저택에 있는 따뜻한 방보다는 지하실의 허름한 차가운 방을 내어주었다.
차갑고 딱딱한 바닥에 누워 자다가 벽에 구멍이 난 것을 발견한 나이 든 천사가 일어나더니 그 구멍을 메워 주었다.
젊은 천사가 그 이유를 묻자 그는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라네” 라고 대답했다.
그 다음날 밤 두 천사는 아주 가난한 농부집에 머물게 되었는데 농부의 부부는 그들을 따뜻하게 맞아 주었다.
그들이 먹을 음식을 나누어 주고 암소 젖을 짜서 따뜻하게 대접하고 자신들의 침대를 내어주면서 편히 잠을 잘 수 있도록 배려를 아끼지 않았다.
다음날 아침, 날이 밝았다.
그런데 농부 내외가 아침부터 슬피 울고 있는 게 아닌가?
이유인 즉 그들이 우유를 짜서 생계를 유지하는 유일한 암소가 마구간에 죽어 있는 것이었다.
저 두 방문객이 우리 집에 재앙을 몰고 왔다는 것이었다.
젊은 천사는 화가 나서 늙은 천사에게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나게 내버려 두었느냐고 불평을 했다.
부잣집 사람들은 모든 것을 가졌는데도 구멍 난 벽을 고쳐주었으면서도, 궁핍한 살림에 자신들이 가진 가장 귀중한 암소를 어떻게 죽게 놔 둘 수 있느냐고 따졌다.
그러자 늙은 천사는 똑같은 대답을 했다.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라네.”
그러면서 이렇게 설명해 준 것이었다.
“우리가 그 저택 지하실에서 잘 때 벽 속에 금덩이가 수북이 쌓여 있는 것을 벽에 난 구멍을 통해 발견했지. 그 집 주인은 탐욕으로 가득 차 있어서 자신이 가진 부를 나누려고 하지 않고 쌓아 두려고만 했기 때문에 벽에 난 구멍을 막아서 그 금을 찾지 못하도록 한 것일세. 어젯밤 우리가 농부의 침대에서 편안하게 잘 때 죽음의 천사가 그 아내를 데리러 왔었네. 그래서 아내 대신 암소를 데려가라고 했지.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라네.”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이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 옳은 줄 안다.
자기 생각과 다르면 틀렸다고 말한다.
자기 중심으로 판단하면서 그것이 옳은 판단이라고 생각한다.
자기 판단과 다르면 틀린 거라고 말한다.
흔히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것이 다 인줄 알고 그럴 것이라고 단정짓는다.
자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믿으려 하지 않는다.
이것이 인간의 가장 큰 어리석은 실수들이다.
이런 사람들을 보면 거의 대부분이 자기 중심적이고 과거지향적이다.
과거지향적인 사람은 과거를 잊어버리지 못하고 새날이 와도 아직도 과거에 사로잡혀 살아간다.
사람을 평가해도 과거 지향적으로 평가를 한다.
“너는 과거에 그런 사람이었어, 너는 과거에 그런 실수를 했어, 너는 과거에 나에게 상처를 주었어, 그러니까 너는 그런 사람이야”라고 판단한다.
문제는 과거지향적인 사람은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부부싸움의 원인을 살펴보면 “과거에 당신은 이랬어, 저랬어, 그때 나 한테 그렇게 했잖아!”라고 공격을 한다.
그러면 싸움이 더욱 격화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우주만물의 먼지 하나보다 더 작다.
눈에 보이는 게 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가장 어리석은 사람이다.

송영일 목사 (Y Edward Song, Th.M, D.Min)
케이티 새생명교회 담임
newlife0688@gmail.com
(832)205-5578
www.houstonnewlife.org

관련 기사